다중우주론에 대하여... 이전부터 다중우주론에 대해 관심을 가져왔습니다. 다중우주론은, 특히 영화나 문학계에서 주목해왔는데요. 과거의 "나"와 혹은 미래의 "나"를, 현재의 "내"가 조우하는 내용 등은 다중우주론의 한 자락인 평행이론을 차용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 밖에도 우리나라에서 많은 사랑을 받은 영화, 매트릭스나 13층같은 영화도 이 다중우주론에 영향을 받았구요... 하지만 뭐니뭐니해도 다중우주론을 알게 되면서 "아하"하게 되는 점은, 불교의 세계관과 흡사하다는 인상을 지울 수가 없다는 점. 삼라만상, 일체개고 등등의 그동안 다소 허무주의적이라는 인상을 주었던 불가의 이론이, 다중우주론이 대두되면서 새삼 떠올리게 되네요. 다른 얘기지만 불교가 참 대단한 점은, 대략 3000년전부터 2500년까지 불교와 불교 형성에 영향.. 더보기 탈무드에 나오는 돈에 관한 격언들! 1. 좋은 수입만큼 좋은 약은 없다. 2. 지식을 너무 많이 보유하면 사람이 늙지만, 돈을 많이 가지고 있다면 다시 젊어진다. 하지만 요즘 시대엔 걸맞지 않은 격언이네요~ 요즘은 지식이 많으면 돈이 벌리는 시대. 고로 지식이 많으면 젊어질수도 있는 시대를, 우리는 살고 있습니다^^ 3. 돈이란, 그것을 가지지 못한 사람에게는 매우 소중해 보인다. 4. 돈은 그 어떤 문이라도 열 수 있는 황금 열쇠이다. 5. 인생에 필요한 것은 돈과 의식주이다. 6. 돈을 사랑하는 것으로는 부자가 될 수 없고 돈이 당신을 사랑해야 한다. 7. 자신이 가진 돈을 벌 수 있을까? 있다. 쓰지 않는 것이다. 8. 부자가 되는 방법이 하나 있다. 내일 할 일을 오늘 하고, 오늘 먹을 것을 내일 먹으면 된다. 근면, 성실함을 말하.. 더보기 탈무드로 보는 유태인들의 금전관! 1. 텅 비었음에도 세상에서 가장 무거운 것은 무엇인가? 탈무드에서는 그것을 빈 돈지갑이라고 했습니다. 물건이 가득 찬 자루는 무겁습니다. 그러나 탈무드는 빈 자루 쪽이 더 무겁다고 합니다. 왜 그럴까요? 그것은 빈 지갑과 빈 자루는 힘들고 고달프게 하기 때문입니다. 2. 돈, 우리는 돈 없이는 살아갈 수가 없습니다. 돈은 빛을 주고 돈은 따스함을 줍니다. 돈은 저주도 악도 아니며 인간을 축복하는 것입니다. 3. 부호와 현인 중 어느쪽이 위대할까요? 하고 어느 랍비의 제자들이 토론했습니다. "그야 말할 것도 없이 현인이지. " 랍비는 한 마디로 대답했습니다. 그러자 다시 제자가 물었습니다. "랍비님, 그렇다면 왜 부호의 집에는 학자나 현인들이 드나드는데 현인의 집에는 부호가 시중들고 잇지 않는 걸까요?".. 더보기 유럽은 언제 미신 대신 과학을 받아들였나? 히비와 뉴턴, 갈릴레이는 유럽인들이 과거의 미신으로부터 해방시키는데 기여한 학자들입니다. 이들이 등장하기 이전 시대의 사람들은, "책을 읽는 것만으로는 세계를 완전히 설명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맞지 않다. 누군가가 설명하는 이치를 이해할 수 있다고 해서, 자연을 다루는 방식을 완전히 파악할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만약 세계라는 시계가 돌아가는 흐름을 이해하려면, 그것을 이끌어 낸 원인을 자세히 조사하는 것이 더 좋을 것이다. "라며 자연을 관찰하고 조사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을 깨닫기 시작했습니다. 이 시기에 이르고서여 비로소 과학자들은 신변의 위협을 느끼지 않고도 자유로운 연구 활동에 몰입할 수 있었으며, 크리스트교가 지배하던 이전 시기처럼, 교회나 왕의 탄압이 두려워, 자신이 발견한 내용.. 더보기 연금술사의 저자 파울로 코엘료! 연금술사의 저자 파울로 코엘료는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의 중산층 가정에서 1947년에 태어났습니다... 17세 때부터 세 차례에 걸쳐 정신병원에 입원하며 불우한 청소년기를 보냈죠... 록밴드를 결성하고 연극단 활동에 참여하는 등 히피문화에 심취했던 청소년기를 보냈던 파울로 코옐료! 1973년에 함께 음악하던 라울과 함께 《크링하》라는 만화잡지를 만화잡지를 창간했다가 잡지 성향이 급진적이라는 이유로 당시 브라질 군사정권에 의해 두 차례 수감되고 고문당하기도 했습니다... 이 후 산티아고 순례여행을 계기로 문학의 길에 접어 듭니다... 1987년 자아의 긴 여정을 신비롭게 묘사한 《연금술사》가 대성공하면서 세계적 작가가 됩니다... 이 후 《피에트라 강가에서 나는 울었네》《베로니카, 죽기로 결심하다》《악마와 .. 더보기 이전 1 ··· 4 5 6 7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