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건강 썸네일형 리스트형 타인의 시선을 지나치게 의식하는 당신, 혹시 수치심중독에 빠진 건 아닌가요? 목적한 바를 이루고자 할 때, "자신에 대한 확고한 믿음"이 아주 중요합니다. '할 수 있다.'라는 자신에 대한 믿음은 나의 내면 깊숙한 곳에서, 나에게 '실행해도 좋다'는, 최종 결재 사인과 같습니다. 즉, 나를 설득하는데 성공했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그리고 자신을 믿으려면 한톨의 의심도 없이, 근원적으로 믿어야 합니다. 만약 정말 내가 스스로를 믿고 있고 자신감을 가지고 있는지, 그걸 알고 싶다면 내 머리속에 슬쩍슬쩍 떠오르는 단어, 스스로에 대한 이미지, 잔상들이 긍정적인지 부정적이지 않은지 성찰해 보시기 바랍니다. 특히 우리 문화는 어릴 때부터 아이들의 수치심을 자극해 아이들을 훈육하는 경향이 강하고 여전히 권위적이고 폭력적 문화가 잔존한 사회이기 때문에 국민 다수가 '수치심 중독' 증상을 가지.. 더보기 당신의 뇌는 정말 당신의 성공을 바랄까? 인간의 뇌는 성공에 대해 어떻게 작용하고 움직일까요? 우리는 우리의 뇌가, 자신과 한 편이 되어 성공에 매우 협조적일 것이라 믿지만 이것은 뇌의 기본 입장이 아닙니다. 우리의 뇌는 지극히 단순한 목적을 위해 활동합니다. 나쁘고 좋지 못한 일들은 (앞으로 멀리하기 위해) 과장해서 기억하고, 좋거나 즐거웠던 것은 (앞으로 더 찾기 위해) 역시 과장돼 기억됩니다. 성공에 대해서도 역시 일생에 걸쳐 성공의 가능성에 대한 의문과 데이터를 축척한 다음, 우리를 포기시키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성공을 하게 되면 내 주변 환경에 큰 변화가 일어나기 때문이죠. 뇌는, 우리가 변화된 환경에 직면했을 때 따라올지도 모르는 위험과 불확실성에 노출되느니 차라리 현상을 고수하도록 자신을 과잉보호합니다. 이렇듯 뇌는, 가장 먼저 생..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