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과학캐스터

뇌질환 정복, 얼마 안 남았다!

치병으로 알려진 파킨슨병을 조기에 진단하고 치료할 수 있는 길이 열렸네요. 기존 치료법과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접근하는 치료법이라고 합니다. 미국 스탠퍼드대 의대 이진형교수는 뇌를 전기회로로 생각하고 접근해 전기공학도로서 그 회로도를 만들어 전기회로를 고치듯 고치는 식으로 접근했다고 합니다. 서울대 전기공학부를 졸업한 이진형교수는 현재 스탠퍼드대 의대와 공대에서 뇌를 연구하는 뇌과학자입니다.



뇌과학뇌과학, 어디까지 왔나?


 즉, 정상인 뇌 전기회로도와 파킨슨병 환자의 뇌 전기회로도를 비교하는 것입니다. 이 방법은 바로, 회로의 이상 유무를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병의 조기 발견에 뮤리하다고 봅니다. 이렇게되면 (파킨슨병 뇌 회로도가 만들어짐에 따라) 뇌에 전기자극을 줘 증상을 완화하는 뇌심부자극술 치료법이 더욱 정밀해집니다.

 

파킨슨병은 보통 병원에서 뇌심부자극술을 통한 치료를 행하고 있지만 정확한 부위와 동작 원리를 몰라 부작용이 생기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뇌 회로도를 기본으로, 문제가 되는 부위에 뇌심부자극술 치료를 하면 큰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뇌 회로도 개념이 치료법으로 자리 잡으면, 파킨스병뿐만 아니라 알츠하이머성 치매 등의 치료에도 이용될 것입니다. 보다 정확한 위치에서 다양한 문제를 일으키는 뇌세포를 찾아 치료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한편, GIST(광주과학기술원)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전성찬 교수팀은 뇌 전기 자극이 뇌에 미치는 영향을 정확히 예측하기 위한, 해부학적 뇌 모델과 뉴런 모델을 결합한 새로운 시뮬레이션 기법을 개발에 성공했습니다. 이 시뮬레이션 기볍으로, 치매 등 뇌질환 치료를 위한 전기 자극이 뉴런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고 합니다.


단순한 해부학적 뇌 모델과 뇌의 컴퓨팅 모델(자기공명영상 및 확산텐서영상을 이용한 뇌의 전자회로도), 뉴런모델(운동 신경 전달의 중추 역할을 하는 피라미드 형태)을 가상적으로 결합한 후, 전기 자극에 의해 뉴런이 활성화되는 예측 영역을 분석했다. 이 기법은, 개별 환자에게 더 적합하게 접근할 수 있어 뇌 질환 치료 효과를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합니다. 

그런데 앞으로 뇌과학과 인공지능(AI)을 비롯한 첨단 기술이 만나면, 뇌질환 치료와 뇌기능 향상에 새로운 세상이 펼쳐진다네요. 신경과 의사 출신인 정용 KAIST 바이오뇌공학과 교수(헬스사이언스 연구소장)에 따르면, 'AI와 첨단 센서 기술로 더욱 세밀한 뇌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이 정보를 바탕으로 뇌를 직접 자극, 뇌 기능에 다양한 변화를 줄 수도 있다. 각종 뇌 질환을 정복하고, 심지어 인간의 뇌 기능을 강화하는 신세계도 열 수 있다.'라고 전합니다.

 

예를 들어, 퇴행성 뇌 질환 치료뿐만이 아니라, 뇌에 전기 자극을 가해서 기억력을 높이거나 운동선수의 신체 능력 강화와 같은 기능도 기대해 볼 수 있다네요. 뇌에 전기 자극으로 각종 정신질환, 신경성 신체 질환 치료도 기대해 볼 수 있답니다.

 

흠. 그러고보면....이명박근혜가 4대강, 자원외교, 뻘짓한 돈으로 뇌과학과 ICT기술등에 투자했더라면 지금 우리의 세상은 완전히 달라져 있을 겁니다. 특히 노인들은  치매를 두려워하지 않았을수도. 이게 다 무지하고 탐욕스런 국민들이. 아파트값 올려준다는 이명박과, 박정희 향수에 모자란 박근혜를 뽑은 탓.